음원 관련주 정리합니다. 음원 관련주 대장주를 포함하여 상승 확률이 높은 종목을 확인하세요.
1. 카카오
우리가 많이 쓰는 멜론을 가지고 있으며, 카카오 뮤직도 있습니다.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 매출이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1) 카카오게임즈가 모바일 게임의 장르 다변화와 해외시장 진출, 자체 개발 게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게임콘텐츠, 2)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진행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유료가입자 기반을 확보한 음악플랫폼 멜론(Melon)과 글로벌 K-pop 아티스트를 양성하고 음악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뮤직콘텐츠, 3) 카카오픽코마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서 경쟁력 있는 스토리IP를 발굴하고 국내외 콘텐츠 시장에서 이용자 저변을 키워가고 있는 스토리콘텐츠, 그리고 4)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IP를 활용한 매니지먼트 사업 및 영상콘텐츠 제작 사업을 펼치고 있는 미디어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YG PLUS
YG 에서 나온 음원을 전문적으로 유통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YG PLUS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음악서비스 매출은 음원 유통 매출과 네이버 음악플랫폼 운영대행 매출입니다. 음악플랫폼은 해당 플랫폼에 음원콘텐츠를 독점 공급하고 공동으로 운영, 관리하는데 대한 사업수익배분 매출이며, 음원 유통 매출은 아티스트의 음원 유통에 따른 수수료 수익입니다.
3. 드림어스컴퍼니
FLO, 아스텔앤컨, 아이리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8년 시작한 FLO - 플로가 드림어스컴퍼니에서 제공하는 음악서비스로 음악 외에도 팟캐스트, 오디오 북을 제공하는 등 오디오 콘텐츠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며 단순히 콘텐츠 구매를 넘어서서 FLO 콘텐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근에는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의 감상 수요가 확대되면서 2023년 12월에는 음악의 분위기에 맞는 영상과 함께 빠르고 간편하게 플레이리스트를 고를 수 있는 '무드(Moood:)' 서비스를 런칭, 이용자의 음악 감상 편의를 높였습니다. 또한 보유곡 수 또한 7천만 곡을 돌파하며 이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MD 사업은 다양한 기획사 아티스트의 IP를 바탕으로 MD상품을 드림어스의 강점인 유통 역량을 이용하여 온/오프라인에서 광범위하게 유통하고 있습니다. 키오스크와온라인 시스템을 연동하여 재고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결제 수단을 지원하여 국내외 다양한 구매층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공연사업은 내실있는 아티스트와 콘텐츠를 보유한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하여 공연을 기획/제작하고 있습니다. 휴대용 고음질 오디오 플레이어 시장의 선두주자인 A&K (아스텔앤컨)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IRIVER 사업은 음향, 생활, 소형 디지털 제품군에서 차별화된 디자인과 사용성 개선을 컨셉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포지셔닝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4. 지니뮤직
KT 그룹의 계열사로 음악콘텐츠 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요사업은 온라인 음악서비스 사업으로 음악스트리밍 플랫폼(서비스 명칭 '지니')을 통해 고객에게 고음질 음악감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음악 서비스 외에도 콘텐츠 유통사업(밀리의서재)과 공연사업 등 다양한 콘텐츠 영역에서의 수익 창출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5. TJ미디어
노래방 기계에 보면 TJ 미디어라고 많이 보실 수 있는데요, 노래방 반주 음악 제작하는 회사입니다.
TJ미디어가 생산한 노래반주 콘텐츠를 기반으로 노래방 업소 외에 다양한 채널과 플랫폼을 통해 노래방 콘텐츠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이동통신사(SKT, KT, LGT)와의 제휴를 통해 휴대폰을 이용한 고음질의 노래방 콘텐츠와 UCC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노래방 어플과 콘텐츠개발 및 TV기반, 무선(스마트폰, 태블릿 등) 기반, 동영상 플랫폼 기반(유튜브)의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1위 온라인 노래방 사이트인 질러(ziller.co.kr)를 통해 노래반주 콘텐츠 서비스와 사용자들의 노래방 UCC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형태의 새로운 플랫폼인 IPTV용 노래방 솔루션을 개발하여, KT, SK브로드밴드의 IP TV망을 이용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TV를 통해 노래방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6. NHN벅스
온라인 음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벅스입니다.
B2C는 디지털 음원서비스(벅스)와 SNS 운영(세이캐스트)사업을 B2B는 음원유통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3년 손익계산서 기준 매출액은 568억 원이며 각 사업부문별 매출액 비중은 B2C 약 49%. B2B 약 51%입니다.
벅스가 영위하는 디지털 음원서비스란 인터넷사이트 및 휴대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음원을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세이클럽 및 음악방송 '세이캐스트'는 인터넷 음악방송, 채팅 등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를 확보하여 아이템 판매, 광고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사업입니다.